Web/자료

AWS S3 에서 호스팅한 정적 웹에 HTTPS 적용하기

calvin9150 2021. 11. 12. 00:49

[ 이용할 AWS 서비스 개념 설명 ]

 

- S3 :  데이터를 저장하고 검색할 수 있도록 구축된 객체 스토리지. 정적 웹 호스팅도 가능.

 

- Route53 : AWS에서 제공하는 DNS서비스. Route53을 통해서 도메인을 구매하고 호스팅 영역을 생성하고 네임서버를 구축하여 DNS에 요청 및 처리를 할 수 있다)

*DNS : IP네트워크에서 사용하는 시스템이다. 우리가 인터넷을 편리하게 쓰게 해주는 것으로, 영문 주소를 IP 네트워크에서 찾아갈 수 있는 IP로 변환해 준다.

 

- CloudFront : AWS에서 제공하는 CDN (콘텐츠 제공자와 사용자 간 지리적으로 떨어져 있는 환경에서 콘텐츠를 빠르게 제공하기 위한 기술)서비스. 전 세계에 분포된 데이터 센터에서 콘텐츠를 캐싱하여 사용자는 가장 가까운 데이터 센터에서 콘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다. 

 

- ACM(AWS Certificate Manager) : SSL 인증서를 쉽게 관리 및 배포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서비스. SSL인증서란, 네트워크 통신을 보호하고 웹사이트의 자격 증명을 위해 사용된다.

 

[ HTTPS 적용 웹사이트 만드는 순서 ]

1. Route53에서 도메인을 구매한다. (HTTPS는 도메인없이 적용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2. ACM에서 SSL 등록하기

2-1. 위에서 구매한 도메인을 입력

2-2.  DNS검증을 거친다. (ACM에서 제공한 CNAME 값을 Route53에서 등록)

 

3. CloudFront에서 HTTPS 적용하기

3-1. S3에서 호스팅한 정적 웹 주소를 등록한다. (Route53에서 구매한 도메인 말고)

3-2. 설정 중 Redirect HTTP to HTTPS 체크 (구매한 도메인은 디폴트가 HTTP이기 때문에 해당 도메인에 접근 시 HTTPS로 리다이렉트 시켜주도록 하기 위함.)

3-3. ACM에서 발급받은 SSL인증서도 등록.

 

'Web > 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AWS General immersion day 자료  (0) 2023.03.24
AWS Practitioner 내용 정리  (0) 2022.08.31
front 유용한 사이트들  (0) 2021.04.08
프론트엔드 개발자 인터뷰 후기 (면접 질문 정리)  (0) 2021.04.02
MongoDB vs MySQL 비교  (0) 2021.03.14